커뮤니티

착한 꿈이 자라는 에프터스쿨매니저센터

정보나눔

"엄마주도 학습은 초등때나 통한다…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키워라"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1-07-19 09:23
  • 조회 : 545회

본문

자기주도 학습법이 교육계 안팎에서 관심이 높다. SBS 스페셜이 앞선 '성적급상승 공부법의 비밀'에 이어 자기주도 학습법을 3부작으로 나눠 방송한 내용을 다듬어 동명의 신간 '혼공코드'로 묶어 펴냈다.

혼자 공부하기를 뜻하는 '혼공'은 제작진이 자기주도 학습법을 학생과 학부모가 명쾌하게 이해하도록 내세운 단어다. 

 

신간 '혼공코드'는 총 4장으로 구성됐다. 1장에선 우리 아이가 혼공을 못 하는 이유를 분석했다. 우리나라 학부모와 학생은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서 막연히 불안하다보니 학원주도 학습과 엄마주도 학습에 매달리고 있다. 이들은 이마저도 하지 않으면 성적이 더 떨어질까 봐 두러워하고 있다.

제작진은 학원주도 학습과 엄마주도 학습이 초등학교와 중학교 때까지나 그럭저럭 통한다고 단언했다. 엄마가 끌어주고 밀어주는 만큼 성과가 나는 것은 초등학교 때까지고, 일타강사가 집어주는 내용을 받아먹는 것으로 성적을 내는 것은 중학교 때까지라는 것. 

 

신간 바깥의 내용이지만 미국의 영재교육 전문가 위트모어(Whitmore)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존감이 높은 아이들은 자기주도 학습을 성공적으로 해낸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세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어떠한 상황에서도 나 스스로를 믿고 주어진 환경을 잘 이겨나간다. 두 번째로, 언제나 한결같이 자신을 존중하는 힘이 있다. 마지막으로,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자기 자신을 긍정한다.

2장은 실제 아이들의 사례를 바탕으로 어떻게 하면 혼공 능력을 키울 수 있는지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인 노규식 원장과 학습법 전문가 조남호 대표가 코치로 나섰다.

노규식 원장은 혼공 능력을 결정하는 다섯 가지 능력, △자발성 △계획관리 능력 △감정조절 능력 △충동조절 능력 △시간관리 능력을 중심으로 아이를 진단하고 맞춤한 해결책을 제공했다. 또한 부모로서 무엇을 해주어야 하는지, 중점적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지도 짚었다. 여기에 조남호 코치는 공부환경, 공부법, 교재 등을 살펴보면서 혼공을 잘할 수 있는지 큰 줄기부터 세세한 방법론까지 제시했다.

혼공. 결국 자기주도학습은 창의성과 자존감이 바탕이며 교육학적 용어로 표현하면 메타인지능력이다. 메타인지능력이란 '자신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이다. 아이는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복습해 더욱 정교화하고, 모르는 것에 시간을 더 투자해 체화시킨다.

3장은 자기주도 학습법의 마인드셋부터 구체적인 실천법까지를 정리했다. 제작진은 수많은 명문대 합격생의 공부법 중에서 공통적인 부분, 핵심적인 부분을 추출해서 만들었기 때문에 공부를 잘하고 싶다면 무조건 따라야 하는 절대적인 원칙이라고 자부했다.

SBS스페셜 제작팀은 앞선 '성적급상승 공부법의 비밀'에서 단기간에 성적이 급상승해 일류 대학에 합격한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법을 살펴본 바 있다. 이 학생들은 자기주도학습의 전문가였다. 결과에 집착하기보다 과정에서 성장하는 것과 나아진 것에 초점을 두고 공부했다. 또한 기본으로 돌아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으며 피드백을 강조했다.

마지막 4장은 학무보의 관점에서 자기주도 학습법을 풀어냈다. 학부모가 아이의 학업을 관리해왔다면 공부의 주도권을 넘기기를 불안해한다. 전무가들은 학부모가 지금처럼 계속해서 관리, 감독한다면 아이로서는 혼자 계획을 세우거나 스스로를 관리하는 방법을 배울 기회를 영원히 빼앗기게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결국 아이에게 실패할 기회를 주고 기다려주는 것이 학부모의 몫이다.

비고츠키의 인지발달 이론에 따르면 학부모는 대화법을 통해 아이에게 자기주도학습법을 자연스럽게 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인분석력’을 키우는 부모 언어는 "왜 그럴까?"가 있다. ‘자기표현력’을 키우려면 "어떻게 생각해?"라고 물어보면 좋다. ‘문제해결력’을 키우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라고 물어보면 좋다. 저자는 ‘문제’와 ‘과제’의 차이점을 아이가 알고 있는지 살펴야 한다고 했다. ‘추상적 사고력’을 키우려면 "요약하면?"이라고 물어보고  ‘구체적 사고력’을 키우려면 "예를 들면?"이라고 유도하면 좋다.

◇ 혼공코드/ SBS 스페셜 혼공시대 제작팀 지음/ 지식플러스/ 1만6000원


art@news1.kr 

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사이트맵

센터소개
서비스안내
활동매니저소개
신청·지원
커뮤니티
이용후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