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착한 꿈이 자라는 에프터스쿨매니저센터

정보나눔

현 초6, 스스로 수업 골라듣는 고교학점제 세대... 자기주도적 학습 습관 기르려면?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1-02-20 22:14
  • 조회 : 585회

본문

올해 초교 6학년이 고교에 입학하는 2025년부터 고교학점제가 본격 시행된다.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이 원하는 진로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선택, 이수하도록 하고 누적 학점이 기준에 도달할 경우 졸업을 인정받는 제도다.

  

아이들이 스스로 학습할 과목을 선택하고 시간표도 직접 짜며 자기주도적 인재로 성장하는 것을 지원하겠다는 고교학점제의 취지대로 초등생 또한 이를 대비해 자기 주도적인 학습 습관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초교 시기의 학습 습관은 고등학생은 물론, 성인까지도 이어진다.

 

천재교육 관계자는 초등생 시기는 부모의 적당한 개입으로 자녀의 공부 습관을 바로잡을 수 있는 최적기라며, “초등 시기부터 학습에 흥미를 붙이도록 지도해 고교학점제를 제대로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전했다.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고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자기주도적인 학습 습관을 기르기 위해서 초등생 시기는 성적을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기보다 아이가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실행하며 주체적으로 학습의 방향과 방법을 결정해보는 연습에 더 주력해야 한다. 이때 학부모는 자녀가 스스로 목표를 세우면 이에 따른 구체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거싱 좋다.

 

만약 아이가 수학 첫 단원평가에서 85점을 넘기겠다라는 목표를 스스로 세웠다면, 학부모는 이에 대한 세부 계획으로 수학 문제집 하루 10분 풀기와 같은 과제를 주기보다 ‘A라는 문제집의 예제를 풀겠다와 같이 보다 구체적인 실천 과제를 제시해줄 수 있어야 한다. 계획이 구체적일수록 목표가 뚜렷해지고 계획 실천 가능성도 높아지기 때문.

 

다만, 계획을 세울 때 과도한 학습량이나 수준에 맞지 않는 내용 설정은 학습 흥미를 잃게 만들 수 있으므로 자녀 수준을 객관적으로 파악해 적절한 수준에서 계획을 설정하도록 해야 한다.

 

초등 저학년, 학습 만화 활용해 학습 흥미 ↑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과목별 주요 개념을 익히고, 흥미를 높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학습만화 혹은 이미지가 많은 참고서는 좋은 활용법이 될 수 있다.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이야기와 그림을 활용해 교과와 관련된 개념을 풀어내기 때문에 학습 흥미가 없거나 집중력이 낮은 저학년들도 쉽게 이해하고 집중할 수 있다.

 

또한 학습만화를 통해 궁금했던 내용들을 다른 책에서 찾아서 배우는 습관도 기른다면, 학교 수업도 쉽게 이해하고 흥미를 붙일 수 있다.

 

 

학습한 지식, 경험으로 확장해주는 체험활동비대면 콘텐츠도 가능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는 일상생활과 교과 내용의 연결고리를 확장해 학습 시야를 넓히고 과목별 문제 응용력을 키우는 등 전반적인 학습 수준을 높여주는 체험학습이 좋다. 체험학습은 아이들이 교과 내용에서 얻은 지식을 경험하고 일상생활에 적용하며 학습 원리나 개념을 더 쉽게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기회가 된다. 또한 다양한 소재와 상황을 접하며 사고 확장 및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
 

코로나로 체험학습활동이 어려워졌지만 이에 대한 대안으로 교육기업들이 제공하는 VR, AR형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천재교육의 에듀XR(EduXR)은 집에서도 미술관, 박물관을 체험하는 것처럼 교과와 연계된 200개 이상의 VR, AR 콘텐츠를 별도 기기 없이 PC, 모바일 등의 디바이스로 체험할 수 있다.

 

직접 체험활동에 나서기 어렵다면 이러한 콘텐츠를 활용해 르네상스 시대의 미술작품, 선사시대의 생활상을 체험하고 부모와 체험 내용에 대해 대화하거나 궁금한 것을 찾아보는 식의 활동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실제 체험학습을 다녀온 것처럼 오랫동안 기억에 남길 수 있는 것은 물론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도 키울 수 있다.

 
 

5ebaa84e12e8d9babb699a405cf05bd4_1613709331_0819.jpg
천재교육 제공

 

  



출처 : 에듀동아 김수진 기자  2021.02.19 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210219133548615792


 

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사이트맵

센터소개
서비스안내
활동매니저소개
신청·지원
커뮤니티
이용후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