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착한 꿈이 자라는 에프터스쿨매니저센터

정보나눔

7세에 처음 시작하는 영어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최고관리자
  • 작성일 : 19-05-27 11:10
  • 조회 : 2,394회

본문

요약 7세에 영어를 시작해도 결코 늦지 않다. 어떻게 영어를 시작하고, 영어 환경을 어떻게 만들어주느냐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곱 살인 제 친구 아들은 원비가 월 80만 원인 영어유치원에 3년째 다니고 있어요. 간단한 의사소통은 모두 가능하다는데···. 그저 영어책 몇 권 정도 읽은 게 전부인 아이에게 영어를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걱정이에요.”

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초초하게 생각하는 부분 중 하나가 영어이다. 하지만 7세에 처음으로 영어 공부를 시작한다고 해서 걱정할 것은 없다. 일반적으로 뇌의 언어를 담당하는 부분은 6~7세에 발달한다고 하는 것이 학계의 중론. 또한 미국에서 수십 년간 이중언어 교육을 연구해온 장병혜 박사는 “문화적 토양을 수반하지 않은 영어 교육은 언어적 혼란만 가져올 뿐”이라고 말한다.

동덕여대 우남희 교수도 “4세와 7세 그룹을 나눠 실험해본 결과 7세의 습득 능력이 훨씬 뛰어났다”며 “영어 교육은 기본 인지 능력이 발달한 만 6~13세 사이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만약 7세에 영어 학원에 보내기로 결정했다고 하더라도 가정에서의 교육이 더욱 중요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학원에서의 열 마디보다 엄마와 나눈 한 마디가 더 중요한 법이다. 언어는 환경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유아 영어 교육 사이트 쑥쑥닷컴 서현주 이사에게 물어봤어요!

Q. 7세에 처음으로 영어 교육을 시작할 경우 어떤 점이 중요한가?
7세는 1년 후면 초등학생이 되는 만큼 영어에 있어서도 학습을 필요로 하는 시기다. 지금까지 영어를 놀이나 노래, 게임 등으로 접했다면 이제는 다른 접근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창작 그림책 중심으로 그림책 읽기를 하고, 읽기 연습용 그림책이라고 하는 리딩용 교재도 병행하는 것이 좋다.

Q. 7세에 영어 교육을 시작할 경우 우리말과의 혼란은 없을까?
어느 언어를 사용하는 아동이든 7세는 모국어의 기본적인 틀이 거의 완성되는 시기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간단한 문법이나 모국어가 가지고 있는 강세, 억양 등 중요한 요소에 대해서는 이미 습득된 상태이기 때문에 문제 될 것이 없다. 다만 음성언어가 아닌 문자언어의 경우, 학자들마다 모국어와 외국어의 문자를 함께 학습하는 것이 서로 늦어질 수 있다는 의견과 그렇지 않다는 의견 등으로 엇갈린다. 따라서 파닉스의 경우 한글 읽기가 완전히 끝난 후 가르칠 것을 권한다.

Q. 반드시 원어민에게 배워야 하나?
원어민 교사에게는 본토 발음을 제대로 배울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자질이 부족한 원어민보다는 아이들의 심리도 잘 파악하고 경험이 많은 한국인 선생님에게 배우는 것이 좋은 경우가 더 많다. 부족한 발음은 시청각 교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Q. 시중에 나와 있는 영어 교재를 어떻게 선택하면 좋은가?
내용 안에 어려운 단어가 너무 많지 않고 아이가 흥미 있어 하는 주제를 고르는 것이 좋다. 리듬감 있는 내용이 반복돼 쉽게 내용을 유추할 수 있어야 아이가 자신감을 잃지 않는다. 처음 접하는 오디오 테이프는 쉽게 듣고 따라 할 수 있는 노래와 챈트로 된 것을 구입하는 것이 좋다. 외국인이 영어를 배우기 위해 만든 ELT 교재와 원어민 아동들을 위한 교재가 있는데 7세의 경우는 두 가지를 적절히 활용하면 좋다. 또한 모국어로 이미 가지고 있는 지식을 활용해 한국어로 읽은 번역본 책이나 한국어 더빙 비디오를 원어로 선택해 보여주는 것도 좋은 방법. 우리말로 이미 친숙한 내용을 영어로 접했을 때는 외국어라는 거부감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Q. 한 번도 영어를 접하지 않은 아이는 어떻게 영어 공부를 시작하는 것이 좋을까?
7세에 영어를 시작하면 모국어의 틀이 잡혀 있기 때문에 혼란 없이 외국어를 익힐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영어를 완전히 외국어로 인식하고 거부감을 가질 수 있다는 단점 또한 존재한다. 하지만 사춘기가 다 되어서야 처음 영어 공부를 시작한 기성세대와 비교하면 7세에 영어를 시작하는 것은 결코 늦은 출발이 아니다.

처음에는 엄마와 함께 읽는 영어 그림책을 주로 하되 시청각적인 교재, 비디오나 CD롬을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영어에 거부감을 보이는 아이라 해도, 멀티미디어 교재를 사용하면 성공적으로 첫걸음을 뗄 수 있다.

교재를 선택할 때는 취학을 앞두었다는 조급한 마음에 너무 어려운 것을 선택하기보다는 아이와 함께 서점에 가 아이가 좋아할 만한 내용을 고르는 것이 좋다.

Q. 엄마가 직접 해주는 것과 학원이나 학습지를 시키는 것 중 무엇이 더 효과 있을까?
학습지나 학원은 아직 동기 부여가 어려운 아이들에게는 큰 효과가 없다. 청소년이 되면 영어를 왜 배워야 하는가 하는 뚜렷한 목표 의식이 있기 때문에 학원 외의 시간에도 영어를 공부한다. 외국인으로서 영어를 공부하는 경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영어 환경이다. 학원과 학습지만으로는 영어 환경이 너무 좁다. 그러므로 미취학 아이들에게는 가정이 가장 좋은 환경이다. 그러려면 부모가 영어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Q. 아이가 영어에 큰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경우에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아이가 좋아할 만한 주제로 접근해보자. 예를 들어 공룡을 좋아하는 아이라면 공룡과 관련된 영어 그림책과 비디오를, 장래에 마술사가 되고 싶어 하는 아이에게는 마술 관련 영어책을 보여주는 것이 영어라는 거부감을 쉽게 허무는 방법이다. 또 영어로 되어 있는 게임 CD를 적절하게 활용하면 아이들 특유의 유연성으로 영어를 좋아하게 된다. 종합학습용 CD롬은 하나하나 게임 형식의 문제를 풀다 보면 그 단계를 정복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 성취감과 함께 자연스럽게 언어를 습득할 수 있게 만드는 좋은 교재가 될 수 있다.

7세에 영어를 시작하는 아이를 위한 교재 3

1. ≪Weesing≫오디오 시리즈
현재 우리나라에 시판되는 가장 대표적인 영어 동요 오디오 시리즈. 미국에서 제작되었고 아이들의 귀엽고 발랄한 목소리로 노래를 불러 아이들이 좋아한다. ≪Weesing≫ 오디오 시리즈는 많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Weesing Childre’n songs and fingerplays≫와 ≪Weesing and Play≫가 영어를 처음 시작하는 아이들에게 좋다. 부모들도 많이 들어서 이미 알고 있는 노래들이 많이 들어있다. ≪Weesing≫ 비디오 시리즈도 추천할 만하다.

2. ≪Polar Bear, Polar Bear, What Do You Hear?≫, ≪Brown Bear, Brown Bear What Do You See?
여러 동물들을 통해 색깔과 듣고 본다는 영어 개념을 익힐 수 있는 책이다.(문진미디어)

3. ≪메이지(Maisy)≫
미국에서 만들어진 비디오로, 화면이 마치 동화책을 보듯이 선명해 아이들의 시선을 붙잡는다. 꼬마 생쥐 메이지가 친구들과 생활하면서 일어나는 소재를 다룬 것으로 현재 10여 편의 비디오가 나와 있다. 쉬우면서도 생활에 꼭 필요한 영어 표현이 많아 처음 영어를 접하는 아이도 재미있게 볼 수 있다.

tip “영어유치원 그만두고 집에서 영어 동화책 읽어줘요”

추인화 씨는 어진이를 다섯 살 때부터 영어유치원에 보냈지만 어진이의 영어 실력은 별로 나아지지 않았다. 그저 영어에 대해 거부감만 갖지 않기를 바라며 영어유치원에 보냈는데 어느 날부터 어진이가 영어유치원에 가지 않겠다고 떼를 쓰기 시작했다. 하루 종일 영어로 의사소통을 해야 하는 것이 내성적인 성격의 어진이에게 맞지 않았던 것.

추인화 씨는 과감하게 영어유치원을 접고 대신 어진이가 좋아하는 영어 동화책을 읽히기 시작했다. 서점에 가서 어진이가 좋아하는 책을 고르면 집에 와서 읽고 또 읽어주었다. 때로는 도서관에 가서 영어 동화책을 빌려오기도 했다.

어진이는 이제 자신이 좋아하는 영어책을 술술 읽을 정도이다. 추인화 씨는 영어유치원에서 억지로 영어 공부를 할 때보다 지금이 훨씬 아이의 영어 실력이 낫다고 생각한다. 비싼 영어유치원이 무조건 좋다는 생각은 금물. 영어도 내 아이에게 맞는 방법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출처: 7세 아이에게 꼭 해줘야 할 60가지, 2010. 08. 20., 중앙M&B 편집부

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사이트맵

센터소개
서비스안내
활동매니저소개
신청·지원
커뮤니티
이용후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