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앞에 둔 고령화시대]"노인 일자리 창출, 결국 해답은 시장형 일자리"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최고관리자
- 작성일 : 17-11-01 10:05
- 조회 : 3,121회
관련링크
본문
김정호 한국시니어클럽협회 회장(가운데). |
“결국 해답은 시장형 일자리를 늘리는데 있습니다”
28일 김정호 한국시니어클럽협회 회장은 ‘고령화 시대의 핵심인 노인일자리 창출 방법’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김 회장은 “공익활동에 비해 근로시간이 길고 노동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시장형 참여노인은 낮은 보수로 인해 인건비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고 지속적인 민원을 제기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일각에서는 공익활동 및 시장형 참여노인 간의 위화감이 발생되어 단체행동이나 이탈이 예상되는 등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민간영역의 일자리인 시장형의 성장·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 시니어클럽은 지방자지단체로부터 지정받은 노인일자리 전담기관으로 전국 140개 시니어클럽에서 참여노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 노인들의 생애 경험 및 지식을 활용할수 있는 노인 적합형 일자리를 개발해 지역사회에서 건강하고 생산적인 노인일자리 및 사회참여활동을 만들어 가고 있다. 노인일자리사업 중 일부는 정부의 지원을 받지 않고도 운영할 수 있는 고유사업으로 활성화시켰고,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등 다양하고 새로운 노인일자리 모델을 만들어 내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노인일자리사업을 80만개까지 확대하고, 수당을 2020년까지 40만원으로 인상하겠다는 노인일자리 공약을 제시한 바 있다. 현재 이 공약은 문재인정부의 100대 국정과제에 포함되어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국회에 제출된 2018 노인일자리 예산에 공익활동 참여노인 활동수당은 월 22만원에서 27만원으로 인상(22.7%)되었지만, 시장형사업 참여노인은 년 200만원에서 210만원으로 인상(5%)에 머물러 상대적으로 시장형사업 참여 노인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김 회장은 “어르신들의 급여인상은 환영할 사항이지만 현장에서는 시장형사업을 제외한 공익활동만의 수당인상으로 노인일자리사업의 한쪽 날개인 민간영역의 시장형사업이 위축되어 노인일자리사업의 균형적인 성장 및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가지고 있다”며 “실제로 수행기관에서는 금번 추경으로 공익활동만 수당이 인상됨에 따라 시장형사업에 참여하는 많은 어르신들의 민원에 직면하고 있어 시장형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시급한 정부의 대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노인일자리전담기관인 시니어클럽이 지정되어 있는 기초자치단체와 비교해보면, 시니어클럽이 부재중인 기초자치단체에서 전문성 있는 노인일자리사업을 수행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라며 “시니어클럽을 기초자치단체마다 1개소 이상 의무 설치를 통해 노인일자리사업의 성장기반과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단순한 형태의 노인일자리에서 베이비부머 세대를 위한 전문적인 노인일자리가 연구· 개발되고 수행기관에 보급되어야 한다”며 “향후 노년으로 유입될 베이비부머 세대의 특성을 연구하고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일자리를 개발·보급하여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건호 기자 scoop3126@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