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공부를 하다 지치면 '나는 정말 공부를 하고 싶은 걸까? " " 나는 공부를 잘할 수 있을까? "
" 나는 왜 공부를 할까 " 등의 질문을 던질 때가 있을것입니다.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이 바로 아이들의 '학습동기' 를 표현해 줍니다.
학습동기는 공부를 가치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열심히 하려는 경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Step1. 내 아이의 목표는 어느 쪽?
□ 학습 목표를 가진 아이
① 공부의 목적은 배우는 것이다.
② 어렵지만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있는 문제를 좋아한다.
③ 실패 원인이 연습 부족에 있다고 생각한다.
□ 평가 목표를 가진 아이
① 공부의 목적은 시험을 잘 보는 것이다.
② 지금까지 배운 것으로 나의 실력을 보여 줄 수 있는 문제를 좋아한다.
③ 남들에게 인정받고, 잘 보이려는 마음이 있다.
실패는 어느 아이에게나 옵니다!
이때 학습 목표를 가진 아이들은 많이 낙담하지 않습니다.
실패를 통한 배움을 기대하고,'나는 배우는 중이니까 괜찮아'하며 용기를 잃지 않습니다.
이에 비해 평가 목표를 가진 아이들은 실패가 자신의 무능을 증명하는 것이라 여깁니다.
잘 아는 것만 하려 들고 모르는 문제는 회피하며 자신의 한계를 규정짓고 노력하지 않을 확률이 높습니다.
평가와 상관없이 부모님과 함께 배움을 누리는 것은 아이에게 안정감을 쌓게 합니다.
상급 학교 입시에 가까워질수록 아이는 평가 목표에 둘러싸일 수밖에 없는데요.
이때 부모님과의 관계에서 안정감을 누리는 아이들은 심리적 압박감을 덜 받을 수 있습니다.
Step2 . 나는 학습 동기를 꺾는 부모? 이끌어 내는 부모?
① 아이가 호기심을 느끼는 과목을 알아본다.
② 공부할 내용과 분량, 시간이 아이 수준에 맞아야 한다.
③ 중기 목표와 단기 목표도 중요하다.
④ 학습지의 경우 하루 분량의 범위가 주어진다.
아이가 고학년이라면 공부를 왜 하는지 아이 스스로 생각해 보는 것도 학습동기 유발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아이가 아직 경험하지 못한 사회 이야기, 꿈을 가지고 노력한 위인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스스로 목표를 갖게 하면 더없이 좋겠지요.

숨겨진 학습동기를 이끌어내는 방법
- 아이가 성공할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하라
아이는 학습 과제가 충분히 가치 있고 학습 활동에 참여해야 할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게 된 후에라도
자신이 그 활동을 충분히 성공해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믿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할 경우에 아이는 학습 과제에 노력을 기울이지 않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기량을 뽐내고픈 생각을 가지고 성취 도전 환경 속으로 뛰어들지만,
자신이 성공해낼 수 없다는 생각이 들면 금방 포기하게 마련입니다.
따라서 부모님은 아이들이 어느 정도 성취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학습 환경을 만들어 가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요.
즉, 학습 활동이 아이의 발달 수준에 적절하고, 아이의 도전심을 자극할 정도의
난이도를 지닌 과제를 제시해 주는 것이 무어보다 중요합니다.
일단 아이가 도전심에 따라 움직이기 시작하면 그 후에 기능의 향상 정도에 따라 과제의 난이도를 심화해 전개하면 됩니다.

-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내적 동기
일반적으로 활동 동기는 외적 동기와 내적 동기로 나뉩니다.
예컨대, 학습자들이 점수를 얻기 위해서 과제를 완수하게 될 경우에 학생들은 외적 동기 유발이 된 것이지만,
재미나 흥미 때문에 활동에 참여하게 될 경우 학생들은 내적 동기가 유발된 것입니다.
체육(스포츠)교육의 중요한 목적중 하나는 학생들이 기능을 익힐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며
동시에 적극적이고 건강한 삶을 영위해 나가는 성향을 길러주는 데 있습니다.
만약 지도자가 통제적인 분위기 속에서 아이들에게 다른 사람들과 경쟁할 것을 강요하면,
아이들은 교사가 통제하지 않는 상황이 될 때 더 이상 그와 유사한 활동에 참여하려 하지 않으려 할것입니다.
따라서 자율적인 분위기에서 아이가 체육활동에 가치를 부여하면서 수행하도록 내적 동기를 촉진시킬 필요가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