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교육과정 개정의 핵심 키워드 '자기주도학습법'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최고관리자
- 작성일 : 13-07-11 11:05
- 조회 : 7,164회
관련링크
본문
자기주도학습이란, 쉽게 말해 아이 스스로 공부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 공부를 왜 해야 하는지 깨닫고 목표를 정하여,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계획을 세워 실천해나가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단순히 혼자 공부한다는 독학의 의미를 넘어, 아이가 자신의 인생을 설계해나갈 수 있는 학습 능력을 키워주는 것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습니다.
자기주도학습 습관은 부모가 잡아줘야 한다
자기주도학습의 핵심은 스스로 자신에게 맞는학습을 선택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것에 있습니다. 그렇다고 자기주도학습을 혼자 하는 공부라고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특히, 초등학생은 중・고등학생과는 달리 혼자서 공부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공부 습관이나 꿈이 자리 잡는시기이기 때문에 부모님의 지원과 관심이 필요합니다.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습관부터 길러줘라
자기주도학습을 위해서는 자기주도적인 생활 습관부터 길러줘야 합니다. 특히 학년이 어릴수록 더욱 그렇습니다. 엄마의 손길 없이는 준비물 하나도 못 챙겨가는 아이가 자기주도학습을 할 수는 없습니다. 스스로 행동하는 습관을 길러주는 것은 작은 약속에서부터 시작합니다. 아이와 엄마가 함께 논의해서 지켜가야 할 목록을 작성해보십시오. 하루에 우유 한 잔 마시기, 공부할 때는 텔레비전 켜지 않기, 화장실에서 볼일 보고 물 내리기 같은 것도 좋습니다. 그리고 준비물 상자를 준비해서 내일 챙겨 가야 할 준비물을 아이 스스로 상자 안에 담아 놓도록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라
자기주도학습 습관은 스스로 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시작합니다. 그래서 ‘왜 공부를 해야 하는가?’라는 필요성을 느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에게 흥미와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요소가 무엇인지 고민해봐야 합니다. 특히, 하위권 학생들은 효율적인 공부법을 떠나 공부를 해야 하는 동기 자체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한 계획표를 짜라
우선, 엄마가 우리 아이를 어느 정도 수준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가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목표를 바탕으로 한 달 계획표와 일일 계획표를 만듭니다. 계획표를 짤 때도 아이 스스로 결정했다는 느낌이 들 수 있도록 아이의 의견을 존중해서 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반드시 계획한 일에 우선순위를 매기게 해야 합니다. 아이 스스로 우선순위를 매기게 하고 그 이유를 물어보십시오. 만약 우선순위가 적절하지 않다면, 아이와 충분히 이야기해서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렇다고 공부의 순서를 강요할 필요는 없습니다. 우선순위는 일의 중요성을 분별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 정도면 충분합니다. ‘오자마자 숙제부터 해야 해!’라는 생각이 들 수 있도록 말입니다.
단계별 목표를 세워라
계획표를 다 짰다면, 한 달 계획표는 학업성과를 점검하기 위해 엄마가 가지고 있고, 일일 계획표는 아이의 책상에 붙여주거나, 그 날 공부할 책들 위에 올려줍니다. 공부할 책에 접착식 라벨지 등을 이용해 그 날 공부해야 할 분량을 표시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그렇게 해서 아이 스스로 공부하는 습관이 붙으면, 일일 계획표를 주간 계획표로 바꾸고, 책에 하는 표시도 하지 않도록 합니다.
조바심을 버리고 기다려라
자기주도학습 습관을 갖게 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자기주도학습 자체가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가장 알맞은 학습법과 시간, 양 등을 깨우쳐 나가는 과정입니다. 초등학교 때 자기주도학습 습관을 길러주었다면, 성적과 상관 없이 초등교육 목표에 어느 정도 도달했다고 생각해도 좋습니다. 계획표를 지키지 못했다면, 혹시 너무 무리하게 짠 것은 아닌지, 아이의 공부를 방해하는 요소가 있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 점검해보는 시간을 아이와 함께 갖도록 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잘 지킨 부분은 칭찬과 격려를 통해 성취욕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부모의 일방적인 강요에 따른 학습은 단기간에 효과를 볼 수도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아이에게 학습에 대한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런 스트레스가 공부를 멀어지게 하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부모가 아이와 함께 공부할 목표를 정하고, 공부에 대한 아이의 의욕을 채워주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