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착한 꿈이 자라는 에프터스쿨매니저센터

정보나눔

[육아] 우리 아이 주도적인 아이로 키우기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최고관리자
  • 작성일 : 12-12-04 11:02
  • 조회 : 5,520회

본문


대학생 자녀의 수강신청도 부모가 해준다는 떠들썩한 사회적 이슈를 그냥 웃고만 지나쳐 버릴 것인가? 세계의 부호로서 리더십을 발휘한 스티브 잡스를 부러워만 할 것인가? 요즈음 아이들은 스스로 자신의 일이 무엇이고 이를 어떻게 할까? 하며 고민하는 기회가 줄어들고 있다. 부모들은 자녀들 스스로 해야만 할 일이 무엇인지를 알고 이를 자연스럽게 경험할 환경을 마련해주고 적극적으로 수행하도록 믿어주고 기다려주고 격려해준 경험이 얼마나 있었는가?

주도성이란 자신에게 주어진 과제와 행하는 이유를 알고 바람직한 결과를 예측하고 책임감 있게 활동하는 의지와 행동으로서 영·유아기부터 발달한다. 이 시기에 적절하게 형성된 주도성은 일생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 중요하다.


r_02.jpg


대부분 아이들은 어려서부터 존재하기 위해 자율적이고 자기 주도적으로 무엇이든 행하고자 부단히 노력하며 발달하고자 하는 생래적인 열정을 가지고 있다. 발달적으로 자연스럽게 발현되어 학습하고자하는 욕구는 모든 행동으로 나타나 경험으로 쌓이고 세련되어진다. 아이가 4살이 되면 상상력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점차 신체적 능력과 의사소통기술이 더욱 유능해지고 주의 집중시간도 길어지며 장시간을 집중하며 보낼 수 있고 능동적이며 호기심이 많고 힘이 넘친다.

이러한 에너지와 새로 발달된 능력은 자신이 하기를 원하는 것을 결정하는데 사용하고 모든 것에 흥미를 매우 가지므로 거의 공격적 양상으로 보일 수 있다. 이는 부정적인 공격이 아니라 활동으로 추진하는 터질 듯한 에너지로서 부모에 의한 어떠한 동기유발도 필요 없이 자신의 내적 동기유발로 나타난다. 따라서 부모는 아이의 주도성의 가치를 이해하고 긍정적인 방식으로 반응해야 한다. 유아들이 마음껏 스스로 탐색하고 집중하고 즐기며 스스로 자신을 주도할 수 있는 놀이를 위한 환경을 마련해주어야 한다.

r_03.jpg


실수할까 자녀를 억압하고 행동을 금지시키고 시도하는 것을 두려워하게 하는 방법은 스스로 자신감을 빼앗아 버리고 주도성을 가지지 못하게 한다. 성인은 모델이 되어 자녀의 주도성을 격려해야한다.

주도성 있는 아동으로 키우려면 아동자신이 스스로를 강력한 힘이 있다고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부모는 아이들에게 존재감을 주고 주변에 무엇인가 영향력을 가진 아동으로 느끼게 하는 개인적 힘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자녀에 대한 관점의 변화로 자녀를 영향력 있는 아이로 키우기 위해 다음의 방법을 실천해보자


r_04.jpg


r_05.jpg

영향력 있는 언어의 사용 방법을 가르친다. 어려서부터 자신을 위협하는 사람에게 “멈춰”라고 손을 들어 말하는 것을 학습하게 한다. 언어 힘의 사용을 학습하게 되면 때릴 필요성을 갖지 않는다. 감정 표현을 학습하고 자신의 관점을 논하는 것을 학습할 수 있다면 효과적인 언어사용자가 되는 것이다.


r_06.jpg

자녀가 자신의 영향력을 느끼게 될 때 필요한 지원을 해준다. 자녀가 가진 힘이 무시되어 모두 사라질 위협을 받을 때까지 계속 약화시키지 말아야 한다. 자녀 스스로 자신을 사용할 수 있도록 그들의 힘을 사용하게 함으로 나중에 부모나 타인의 지원이 없이도 할 수 있도록 스스로를 보호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r_07.jpg

문제해결 기술을 경험하게 한다. 당면한 갈등상황을 자녀가 스스로 인식하고 그 과정에 따른 다양한 결과를 예상하면서 그 맥락을 검토 분석 해결해나가는 절차에 익숙하도록 이야기 나누기를 통해 생활화 한다.


r_08.jpg

자녀의 독특성에 맞게 스스로 조율하도록 돕는다. 자녀들의 차이를 수용하고 부모가 준비한 형태로 자녀를 주조하기 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현재의 아이를 보다 더 완전하게 되도록 돕는다.


자녀들은 암기학습으로 압력을 받을 때, 성인을 위해 무엇인가를 수행하도록 했을 때 아이의 주도성은 짓이겨진다. 힘이 있는 부모나 타인을 즐겁게 하려는 아이의 욕구가 자신의 내적 동기와 갈등을 가지게 하기 때문이다. 아이가 자기 삶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기 위해서 일상생활에서 기본생활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습관을 형성시키고 유아가 원하는 활동을 스스로 선택하고 탐닉하며 즐기면서 몰입할 수 있는 놀이 환경을 제공하고 배려하는 것이다.



[출처 : 굿네이버스 - 나눔인&칼럼]

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사이트맵

센터소개
서비스안내
활동매니저소개
신청·지원
커뮤니티
이용후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