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학습 전략…자기주도학습 능력 키우기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1-09-27 11:13
- 조회 : 467회
관련링크
본문
참고자료 = 여성가족부 부모교육자료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자 스스로가 교육의 전 과정을 자발적 의사에 따라 선택하고 결정해 행하게 하는 학습 형태다. 이를 위해서는 필요한 정보를 선별해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과 과제가 주어졌을 때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가정에서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
학습환경 조성
자녀 스스로 계획하고 실천하고 평가하는 습관을 익힐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자녀의 학습 습관을 관찰하고 적합한 공부환경을 만든다.
믿고 기다리기
무엇이든 시작하면 시행착오를 겪기 마련. 자녀가 처음부터 잘 하길 바라기 전에 시행착오를 겪으며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다려준다. 이를 통해 자신감과 적극성을 겸비한 긍정적인 자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목표 세우기
자녀와의 충분한 대화를 통해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자녀의 꿈과 목표를 세운다.
스스로 공부하는 방법 알려주기
스스로 생각하고 이해하는 연습,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키울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고, 지킬 수 있도록 지도한다.
자기관리능력 지도하기
목표를 세우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를 위해 인내하고 절제하는 미덕을 가르치는 것도 중요하다.
학년별 자기주도학습
태도 기르기
연령에 따라 자기주도학습 태도를 기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소개한다.
1~3학년
가능하면 입학 전 자녀에게 초등학교 참관 기회를 제공한다.
평소 자녀가 가방 챙기기 등 자기 일은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자녀가 자기 의사를 분명하게 잘 표현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준다.
자녀가 일정한 시간 공부하는 습관을 몸에 익히도록 돕는다.
4~6학년
해야 할 것을 스스로 정하게 한다.
할 일을 물어보고, 스스로 공부 내용과 분량을 구체적으로 정할 수 있게 한다.
공부 시간과 방법을 계획한다.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날 공부할 분량을 정한 후 "그럼 이건 시간이 얼마나 걸릴까?", "언제 하는 것이 제일 좋을까?" 물어보며 계획할 수 있도록 한다.
점검 시간과 기준을 세운다.
실천하지 못한 공부를 할 수 있도록 점검 시간은 취침 2시간 전에는 하는 것이 좋다.
명확한 기준을 세워주고,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의 조치도 알려준다.
공부 후 내용을 확인한다.
공부를 효율적으로 하는 아이들은 마지막 단계에서 자신이 공부한 내용을 확인한다. 제대로 한 부분, 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 암기가 부족한 부분을 표시하고 책을 덮는다. 다음번에 공부할 때는 표시된 부분을 더 중점적으로 공부한다.
윤진아 기자 yun_jina@leadmom.com
출처 : 리드맘(http://www.leadmom.com)
학습환경 조성
자녀 스스로 계획하고 실천하고 평가하는 습관을 익힐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자녀의 학습 습관을 관찰하고 적합한 공부환경을 만든다.
믿고 기다리기
무엇이든 시작하면 시행착오를 겪기 마련. 자녀가 처음부터 잘 하길 바라기 전에 시행착오를 겪으며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다려준다. 이를 통해 자신감과 적극성을 겸비한 긍정적인 자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목표 세우기
자녀와의 충분한 대화를 통해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자녀의 꿈과 목표를 세운다.
스스로 공부하는 방법 알려주기
스스로 생각하고 이해하는 연습,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키울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고, 지킬 수 있도록 지도한다.
자기관리능력 지도하기
목표를 세우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를 위해 인내하고 절제하는 미덕을 가르치는 것도 중요하다.
학년별 자기주도학습
태도 기르기
연령에 따라 자기주도학습 태도를 기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소개한다.
1~3학년
가능하면 입학 전 자녀에게 초등학교 참관 기회를 제공한다.
평소 자녀가 가방 챙기기 등 자기 일은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자녀가 자기 의사를 분명하게 잘 표현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준다.
자녀가 일정한 시간 공부하는 습관을 몸에 익히도록 돕는다.
4~6학년
해야 할 것을 스스로 정하게 한다.
할 일을 물어보고, 스스로 공부 내용과 분량을 구체적으로 정할 수 있게 한다.
공부 시간과 방법을 계획한다.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날 공부할 분량을 정한 후 "그럼 이건 시간이 얼마나 걸릴까?", "언제 하는 것이 제일 좋을까?" 물어보며 계획할 수 있도록 한다.
점검 시간과 기준을 세운다.
실천하지 못한 공부를 할 수 있도록 점검 시간은 취침 2시간 전에는 하는 것이 좋다.
명확한 기준을 세워주고,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의 조치도 알려준다.
공부 후 내용을 확인한다.
공부를 효율적으로 하는 아이들은 마지막 단계에서 자신이 공부한 내용을 확인한다. 제대로 한 부분, 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 암기가 부족한 부분을 표시하고 책을 덮는다. 다음번에 공부할 때는 표시된 부분을 더 중점적으로 공부한다.
윤진아 기자 yun_jina@leadmom.com
출처 : 리드맘(http://www.leadmom.com)